[KCI 논문]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 | |||
작성일 | 2025-06-28 | 조회수 | 3 |
---|---|---|---|
첨부파일 |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pdf | ||
웹 크롤링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김주현 /Ju-Hyeon Kim 1 , 최정은 /Choi, Jeonghyeo 2 , 신우경 3 , 박민준 4 , 김태국 /KIM, TAEKOOK 5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약어 : JKIOTS 2024, vol.10, no.1, pp. 21-27 (7 pages) DOI : 10.20465/KIOTS.2024.10.1.021 발행기관 : 한국사물인터넷학회 Cite This Article MLA Style 김주현, et al. "웹 크롤링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10.1 (2024): 21-27. Kim, Ju-Hyeon, et al.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10.1 (2024): 21-27. APA Style 김주현, 최정은, 신우경, 박민준, & 김태국. (2024). 웹 크롤링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10(1), 21-27. Kim, J. H., Choi, J. E., Shin, U. G., Piao, M. J., & Kim, T. K. (2024).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10(1), 21-27. ISO 690 Style 김주현, et al. 웹 크롤링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애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2024, 10.1: 21-27. KIM, Ju-Hyeon, et al.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2024, 10.1: 21-27.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필터링(Filtering)과 웹 크롤링(Web Crawling)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실시간 정보제공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를 웹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키워드를 기준으로 Jsoup 라이브러리를 통해 웹 크롤링을 수행하고, MySQL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한 데이터는Flutter를 이용해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FCM(Firebase Cloud Messaging)을 이용하여모바일 푸시 알람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가생성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에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a personalized real-time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utilizing filtering and web crawling technologies. The implemented application performs web crawling based on the user-set keywords within web pages, using the Jsoup library as a basis for the selected keywords. The crawled data is then stored in a MySQL database. The stored data is presented to the user through an application implemented using Flutter. Additionally, mobile push notifications are provided using Firebase Cloud Messaging (FCM). Through these methods, users can efficiently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quickly. Furthermore,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is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big data is generated, allowing users to receive only the information they need. 키워드 (keyword) 필터링, 크롤링, 빅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 Filtering, Crawling, Big data, Application, Internet of things (IoT) 논문 파일 첨부 (pdf file): Information-providing Application Based on Web Crawling.pdf |
다음 | [KCI 논문] Retained Message Delivery Scheme utiliz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MQTT-based IoT Networks |
---|---|
이전 | [KCI 논문] Implementation of IoT-Base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